아마존 쇼피 플랫폼 진출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상표권 전략을 최신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인 아마존, 쇼피, 라자다에 진출할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상표권’입니다. 현재, 플랫폼에서 브랜드 등록 없이 제품을 판매하면 도용·모방 위험은 물론, 계정 차단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플랫폼별 상표권 등록 요건, 브랜드 등록 절차, 도용 대응법, 실전 보호 전략까지 7단계로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아마존 쇼피 플랫폼 진출 시 필수 상표권 전략 7단계 총정리
1. 플랫폼 진출 전 상표권 확보가 우선인 이유
최신 기준, 글로벌 플랫폼은 지재권 등록 여부에 따라 셀러 권한을 차등 부여합니다. 등록된 상표가 없으면 브랜드 도용, 카피 제품 판매, 계정 정지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 브랜드 등록 필요성 | 미등록 시 리스크 |
---|---|---|
아마존 | 필수 (Brand Registry) | 도용, Buy Box 박탈, 계정 제재 |
쇼피 | 권장 (지재권 등록제) | 판매 정지, 검색 누락 |
라자다 | 등록 권장 | 카피 제품과의 경쟁 불리 |
📌 ‘먼저 올리는 자가 승자’가 아니라, ‘먼저 등록한 자가 권리자’입니다.
2. 아마존 브랜드 등록(Brand Registry) 절차
아마존은 상표권을 보유한 셀러만 브랜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① 등록 요건
-
상표권 등록이 완료된 상태 (USPTO, EUIPO, KIPO 가능)
-
문자 기반 상표 또는 로고 기반 상표 (이미지도 등록 가능)
-
브랜드명과 제품명이 일치할 것
② 절차 요약
-
상표권 등록 완료 (한국 특허청 포함 가능)
-
브랜드명, 제품정보, 웹사이트 URL 제출
-
아마존 인증 이메일 수신 및 코드 입력
-
Brand Registry 승인 → 도구 사용 가능
✔️ 한국 상표권으로도 등록 가능하나, PTO 코드 발급이 가능한 국가 등록을 권장 (미국, 유럽, 영국 등)
3. 쇼피 상표권 등록과 셀러 보호 시스템
쇼피(Shopee)는 아마존과 달리 의무 등록은 아니지만, 지재권 분쟁이 잦은 플랫폼입니다.
✅ 쇼피의 상표권 정책
-
등록 상표만 보호 요청 가능 (TradeMark 등록증 제출 필요)
-
Plagiarism(표절) 신고는 상표 소유자만 가능
-
셀러센터의 ‘IP 신고 센터’ 사용 가능
✔️ 한국 특허청 등록 상표도 사용 가능하며, 싱가포르 지식재산청(IPOS) 등록도 선호됩니다.
4. 등록 가능한 상표 유형과 국가
① 플랫폼에서 인정하는 대표 등록국
구분 | 국가 | 특징 |
---|---|---|
북미 | 미국(USPTO) | 아마존 등록에 가장 유리 |
유럽 | EUIPO | 27개국 일괄 보호 가능 |
아시아 | 한국(KIPO), 일본, 싱가포르 | 쇼피, 라자다, 큐텐에 적합 |
② 등록 유형
-
텍스트 기반 상표 (브랜드명, 슬로건)
-
로고 상표 (디자인 포함 시 보호범위 확대)
-
복합 상표 (문자+디자인 혼합)
✔️ 등록 전에는 반드시 KIPRIS, TESS 등에서 유사 상표 검색 필요
5. 도용 사례 및 대응 전략 – 플랫폼 별 대응 포인트
① 피해 사례
-
아마존: 한국 셀러 A사, 미국 상표 미등록 상태에서 현지 벤더가 브랜드 등록 → 자사 제품도 판매 금지
-
쇼피: 브랜드 B, 로고 도용으로 피싱 사이트 유통 후 고객 항의 폭주 → 리뷰 신뢰도 하락
② 대응 전략
플랫폼 | 대응 방법 |
---|---|
아마존 | Brand Registry 등록 → 도용 제품 신고 / IP Enforcement 사용 |
쇼피 | 지식재산 신고센터 → 증빙자료 첨부 (상표증서 + 제품 이미지) |
라자다 | 이메일 또는 법무대리인 통한 직접 제재 요청 |
📌 상표 등록이 있어야 신고가 가능하며, 모방 제품을 삭제하거나 계정 정지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6. 글로벌 브랜드 보호 전략 – 실무자를 위한 팁
-
진출 예정 플랫폼과 연결된 우선 등록 국가부터 확보
-
텍스트 상표 + 로고 상표 이중 등록
-
KIPRIS + USPTO + EUIPO에서 유사 여부 선조회
-
브랜드 등록 후 이메일 인증까지 완료해야 보호 기능 활성화
-
지재권 분쟁 발생 전 브랜드 등록 스크린샷 저장
✔️ 특히 아마존은 등록 후에도 정기적인 상품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7. 한국 셀러를 위한 비용 효율적인 출원 조합
① 추천 조합
목적 | 출원 국가 | 이유 |
---|---|---|
아마존 우선 등록 | 미국 USPTO | 가장 강력한 브랜드 등록 지원 |
쇼피·큐텐 | 싱가포르 IPOS / 한국 KIPO | 동남아 및 한류 브랜드 보호 |
유럽 마켓 대응 | EUIPO | 1건으로 27개국 보호 |
② 예상 비용 (텍스트 상표 1건 기준)
국가 | 수수료 | 대리인 포함 평균 |
---|---|---|
한국 | 약 62,000원 | 30만~50만 원 |
미국 | $250~350 | 80만~150만 원 |
유럽 | €850~ | 100만 원 이상 |
✔️ 제품 수출 일정이 빠르다면, PCT나 마드리드 국제출원도 고려 가능
8. FAQ – 자주 묻는 질문
① Q1. 상표 등록 없이도 아마존에서 제품을 팔 수 있나요?
→ 가능은 하나, Brand Registry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 모방품 대응이 불가능합니다.
② Q2. 한국 상표권만으로 글로벌 플랫폼에서 보호받을 수 있나요?
→ 일부 플랫폼은 인정하지만, 미국·유럽 상표가 신고와 브랜드 등록에 더 유리합니다.
③ Q3. 로고만 등록해도 브랜드 보호가 가능한가요?
→ 텍스트 상표가 없으면 검색 차단 및 자동 필터링 기능이 제한됩니다. 텍스트+로고 병행 등록이 권장됩니다.
④ Q4. 상표 등록이 아직 진행 중인데 아마존 브랜드 등록은 가능한가요?
→ 등록 완료 후만 가능합니다. 출원 번호만으로는 등록 승인 불가합니다.
9. 다른 종류의 기타 정보
10. 결론
현재, 글로벌 플랫폼은 브랜드를 보호받지 못하면 도용과 카피의 피해가 불가피합니다. 상표권 등록은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플랫폼 내 판매 자격과 계정 안정성의 핵심입니다. 아마존, 쇼피, 라자다 등 플랫폼별 등록 요건과 기능 차이를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국가와 상표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도용 발생 시 플랫폼 내부 IP 신고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면, 사전 등록과 증빙자료 확보가 필수입니다. 글로벌 셀러로 성장하고 싶다면, 상표 등록이 곧 생존 전략입니다.